UmaiCo - 우마이코

[JAVA] 자료형-숫자 본문

[JAVA] 기본 문법

[JAVA] 자료형-숫자

코드 미식가 2022. 7. 17. 17:00

7월 9일 모각소 공부는 

https://blog.naver.com/jerry3269에 올려놓았다.

7월 16일 모각소 공부 내용이다.


1. 정수

자바에서 정수를 표현하는 자료형은 int, long이 있다.

int 는    -2147483648 ~ 2147483647 까지

long-9223372036854775808 ~ 9223372036854775807 까지

표현할 수 있다.

 

다음과 같이 사용한다.

int a = 0;
long b = 21474836478L;

long 변수에 값을 대입할때 숫자 값이 int 자료형의 최대값인 2147483647보다 큰 경우

숫자 마지막에 L(또는 소문자l)을 붙여준다. 만약 이를 빼먹으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.

 

 


2. 실수

자바에서 실수를 표현하는 자료형은 float, double 이있다.

float과 double은 표현할 수 있는 자료형의 범위가 다음과 같다.

float은 -3.4*10^38 ~ 3.4*10^38

double은 -1.7*10^308 ~ 1.7*10^308

 

다음과 같이 사용한다.

float f = 3.14F;
double d1 = 3.141592;
double d2 = 1.234e1;
double d3 = 12.34;

자바에서 실수형은 double이 기본이므로 float변수에 값을 대입 할때에는 F(또는 소문자f)를 붙여야한다.

만약 붙이지 않는다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.

또한, 지수표현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, d2와 d3의 값은 12.34로 같다. e1은 10의 1제곱(10^1)을 의미한다.

 


3. 8진수와 16진수

 

0으로 시작하면 8진수, 0x으로 시작하면 16진수다.

 

다음과 같이 사용된다.

int oc = 024;
int hex = 0x10;

oc는 10진수 20을 나타내고 hex는 10진수 16을 나타낸다.

 

'[JAVA] 기본 문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JAVA] 제네릭 프로그래밍  (0) 2023.02.07
[JAVA] 자바 스트림  (0) 2023.02.06
[JAVA] 어노테이션  (0) 2022.08.06
[JAVA] Enum  (0) 2022.07.30
[JAVA] 생성자  (0) 2022.07.29
[JAVA] 정적 변수와 메소드  (0) 2022.07.24
[JAVA] 접근 제어자  (0) 2022.07.24
[JAVA] 자료형-문자열  (0) 2022.07.1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