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NAMED 쿼리
- JPA
- 뷰 템플릿
- 엔티티 변환
- DTO 조회
- 스프링
- API
- 성능 최적화
- dto
- 벌크 연산
- JPQL
- HTTP API
- 컬렉션 조회
- 지연로딩
- hibernate5Module
- 한방 쿼리
- DB
- 주문조회
- rest api
- MVC
- 서블릿
- querydsl
- batchsize
- 페치 조인
- 정적 리소스
- 스프링 데이터 JPA
- 엔티티 매핑
- SpringEL
- 서버인증
- 연관관계 매핑
Archives
- Today
- Total
UmaiCo - 우마이코
[JAVA] 자료형-숫자 본문
7월 9일 모각소 공부는
https://blog.naver.com/jerry3269에 올려놓았다.
7월 16일 모각소 공부 내용이다.
1. 정수
자바에서 정수를 표현하는 자료형은 int, long이 있다.
int 는 -2147483648 ~ 2147483647 까지
long 은 -9223372036854775808 ~ 9223372036854775807 까지
표현할 수 있다.
다음과 같이 사용한다.
int a = 0;
long b = 21474836478L;
long 변수에 값을 대입할때 숫자 값이 int 자료형의 최대값인 2147483647보다 큰 경우
숫자 마지막에 L(또는 소문자l)을 붙여준다. 만약 이를 빼먹으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.
2. 실수
자바에서 실수를 표현하는 자료형은 float, double 이있다.
float과 double은 표현할 수 있는 자료형의 범위가 다음과 같다.
float은 -3.4*10^38 ~ 3.4*10^38
double은 -1.7*10^308 ~ 1.7*10^308
다음과 같이 사용한다.
float f = 3.14F;
double d1 = 3.141592;
double d2 = 1.234e1;
double d3 = 12.34;
자바에서 실수형은 double이 기본이므로 float변수에 값을 대입 할때에는 F(또는 소문자f)를 붙여야한다.
만약 붙이지 않는다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.
또한, 지수표현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, d2와 d3의 값은 12.34로 같다. e1은 10의 1제곱(10^1)을 의미한다.
3. 8진수와 16진수
0으로 시작하면 8진수, 0x으로 시작하면 16진수다.
다음과 같이 사용된다.
int oc = 024;
int hex = 0x10;
oc는 10진수 20을 나타내고 hex는 10진수 16을 나타낸다.
'[JAVA] 기본 문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제네릭 프로그래밍 (0) | 2023.02.07 |
---|---|
[JAVA] 자바 스트림 (0) | 2023.02.06 |
[JAVA] 어노테이션 (0) | 2022.08.06 |
[JAVA] Enum (0) | 2022.07.30 |
[JAVA] 생성자 (0) | 2022.07.29 |
[JAVA] 정적 변수와 메소드 (0) | 2022.07.24 |
[JAVA] 접근 제어자 (0) | 2022.07.24 |
[JAVA] 자료형-문자열 (0) | 2022.07.17 |